반응형 국어29 📖 '-대'와 '-데' 완벽 구분 가이드 🧐 📖 '-대'와 '-데' 완벽 구분 가이드 🧐-대 🗣️1. 타인에게 들은 것을 전달지수는 내일 여행 간대민수는 그 영화 정말 재미없었대오늘 회의는 취소됐대2.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 🤔왜 이렇게 사람이 많대?쟤는 또 뭘 잘못했대?뭘 믿고 저렇게 말한대?-데 ✍️1. 직접 경험한 것을 전달 (-더라) 😮그 집 파스타 맛있데어제 갔던 카페 분위기 좋데그 사람 생각보다 친절하데2. -ㄴ데. 연결어미 '-다. 그런데-' 🔗어제 거기 갔는데, 아무도 없더라비가 왔는데, 사람들이 우산도 안 쓰고 다니더라친구 생일이라 선물을 준비했는데, 정작 안 왔더라3. 감탄사와 의문사 😲❓그걸 왜 나한테 묻는 건데?그 영화 진짜 재밌던데!2025.04.28 - [노트] - 원자, 원소, 분자 구분법 그리고 주기.. 2025. 5. 13. 모듬 요리? 모둠 요리? 모둠 요리 (0) = 집단, 팀, 세트 - 오늘 수업에서 우리는 다섯 명씩 모둠을 만들어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모둠별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서로의 의견을 존종하는 것이 중요했다- 모둠원들과 역할을 분담하여 효과적으로 일을 마쳤다- 모둠 활동을 통해 협력하는 법을 배울 수 있었다- 모둠 과일- 모둠 안주- 모둠 회- 모둠 튀김- 모둠 전2024.07.12 - [국어] - 화를 삭이다, 삭히다, 맞춤법2024.05.28 - [국어] - ㄴ걸/ㄹ걸 띄어쓰기 2025. 2. 14. 화를 삭이다, 삭히다, 맞춤법 긴장이나 화를 풀어 마음을 가라앉히다는 의미로 '삭이다(삭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예문:힘든 하루를 보낸 후, 산책을 하며 마음을 삭였다.큰 스트레스를 받은 직후, 깊은 호흡을 통해 감정을 삭였다.한편, '삭히다'는 김치나 젓갈과 같은 음식물을 발효시켜 맛을 내는 것을 의미합니다.예문:어머니는 매년 김장철이 되면 김치를 정성스럽게 삭히신다.멸치젓을 오랫동안 삭혀 깊은 맛이 나게 했다.2024.05.31 - [국어] - 그중, 이중 띄어쓰기2024.06.01 - [국어] - 치다, 쳐도 띄어쓰기2024.06.14 - [국어] - 쌔비다 vs 쎄비다 2024. 7. 12. -여 / -쯤 / -가량 띄어쓰기 ‘-여 / -쯤 / -가량’은 접미사이므로 앞말과 붙여 씁니다.예시) 50여명의 → 50여 명의5천여 명내일 쯤 → 내일쯤30일쯤일주일 가량 → 일주일가량10%가량 2024. 7. 5. 이전 1 2 3 4 ···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