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베게너라는 과학자는 남아메리카 대륙의 동쪽 해안선 모양과 아프리카 대륙의 서쪽 해안선
모양이 거의 일치한다는 것을 세계 지도에서 보고, 두 대륙이 원래는 하나로 붙어 있지
않았을까라는 의문을 가지게 됐다. 자신의 생각을 뒷받침할 여러 가지 증거를 수집한 결과
그는 과거에 판게아(베게너가 한 덩어리였던 커다란 대륙에 붙인 이름. 판(모든), 게아(땅))라는
하나의 거대한 대륙이 있었고, 하나였던 대륙이 여러 대륙으로 갈라지고 이동해 오늘날과
같은 대륙 형태를 이루게 되었다는 대륙 이동설을 발표했다.
대륙 이동의 증거
해안선 모양의 일치, 화석, 산맥, 빙하의 흔적 등 여러 가지 증거를 제기했다.
해안선의 모양이 비슷한 대륙들을 하나로 붙여 보면 대서양 연안의 산맥이 잘
이어지고, 같은 종류의 화석 분포나 빙하의 흔적이 잘 연결된다.
진도: 지진에 의해 어느 장소에서 땅이 흔들린 정도와 피해 정도
규모: 지진이 발생할 때 방출된 에너지의 양
해령: 바다에 있는 산맥
마그마가 분출되면서 해저가 확장
마그마가 대륙판을 밀어내며 치솟고
바닷물에 식어 새로운 지각을 생성하게 된다.
오래된 지각은 옆으로 밀어나는 것이다.
지구 내부의 열은 판을 움직이게 한다
지구 내부에서 열이 축적되며 이 열의 일부분이
표면으로 방출되는 것이다. 판이 움직이는 것도
이렇게 열이 방출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반응형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체 모방을 활용한 혁신적인 제품 디자인 창작 활동, 모둠 활동 예시 (0) | 2024.04.12 |
---|---|
조암 광물, 풍화, 풍화 요인 (0) | 2024.04.08 |
열대림의 가치 (0) | 2024.04.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