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한국 중학생·고등학생 용돈 규모 및 주요 사용처 분석

by klob 2025. 5. 27.
반응형

 

 

2024년 한국 중학생·고등학생 용돈 규모 및 주요 사용처 분석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통계청, 하나은행 아이부자 앱, NH농협은행 등의 신뢰할 수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한 2024년 현재 한국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용돈 규모 및 지출 항목에 대한 분석입니다.


# 중·고생 용돈 규모 💰

최근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정기적인 용돈 규모는 과거보다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하나은행 ‘아이부자 앱’ 사용자 데이터(2021년)에서는 중학생이 월평균 약 4만 원, 고등학생은 약 6만4천 원 수준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나이가 높아질수록 용돈 액수도 함께 증가하는데, 2024년 아이부자 앱 분석 결과를 보면 중1 약 53,000원 → 중3 약 69,000원, 고등학생의 경우도 고1 약 11만 원대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학년별 월 평균 용돈 금액 (2024년 기준)

학년군 월평균 용돈 (원) 비고
중학생 5~7만 원대
(중1 ≈53,000원, 중3 ≈69,000원)
1~3학년별 점진적 증가
고등학생 6~11만 원대
(고1 ≈64,000원, 고3 최대 추정 110,000원)
연령 상승에 따라 용돈↑

실제로 하나은행 조사에서도 2021년 기준 중학생의 평균 용돈은 약 4만원(학년별로 중1·중2·중3이 각각 4만3천·4만5천·5만2천원대)이며, 고등학생은 이보다 더 많은 6만4천원대였습니다. NH농협은행이 발표한 최근 분석에서는 중고생의 월평균 카드 결제액이 약 15만 원에 달해, 과거보다 용돈이 크게 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용돈 지출 항목 🛍️

용돈 지출은 주로 식비·간식비 등 먹거리 분야에 집중됩니다. 매일경제 보도에 따르면, 최근 청소년 대상 조사에서 71%가 외식·간식·음료 구입 등 식비 지출이 가장 많다고 답했습니다.

이 밖에 문화·여가 활동비(영화·공연·게임 등, 약 10%)와 교통비(약 8%)가 뒤를 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전국 청소년 대상 설문조사에서 ‘용돈을 가장 많이 쓰는 곳’으로 외식·간식 등 먹거리(71%)가 1위, 문화·여가 활동(10%)이 2위, 교통비(8%)가 3위로 나타났습니다.

  • 식비·간식·음료: 약 71%가 최다 지출 항목으로 꼽힘.
  • 문화·여가: 약 10% (영화, 게임, 친구 모임 등).
  • 교통비: 약 8% (학교 통학, 외출 등).
  • 저축 및 기타: 약 3%가 저축에 쓰며, 나머지(≈8%)는 기타 지출에 사용됨.

📊 용돈 지출 비율 표

지출 항목 비율 (%)
먹거리 (외식·간식·음료) 71%
문화·여가 (영화·게임 등) 10%
교통비 8%
저축 3%
기타 8% (추정)

변화 추이 및 특징 📈

과거와 비교하면 용돈 액수 자체가 크게 상승했습니다. 2003년 조사에서는 중학생 월평균 32,100원, 인문계 고교생 63,500원 수준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통계를 보면 중고생 용돈이 이보다 수배 늘어났습니다.

물가 상승과 함께 가정의 경제력 향상으로 용돈 규모가 커진 것입니다. 또한 중·고생은 용돈 수령 주기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조사 결과 중학생의 54%, 고등학생의 71%가 한 달에 한 번씩 용돈을 받는 반면, 나이가 어릴수록 주 단위 지급 비율이 높았습니다. 즉 학년이 높아질수록 월 지급 비중이 커지는 경향이 확인되었습니다.

이처럼 Z세대 청소년들은 카드·앱을 통한 용돈 관리와 소비가 일상화된 특징이 있습니다. 실제 NH농협은행 분석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중·고생의 카드 결제 건수는 월 평균 22회, 결제액은 15만원에 이릅니다.

가정과 학교에서도 경제교육이 강조되면서 10대의 용돈 지출 패턴과 합리적 소비 습관 형성을 지원하는 움직임이 늘고 있습니다.


© 2024 | 참고 출처: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통계청, 하나은행 아이부자 앱, NH농협은행 보고서, 매일경제, 전국 청소년 설문조사 등.

2025.05.16 - [생활정보] - 📌 예금자보호 한도 1억원으로 상향 조정 📌

2025.04.29 - [생활정보] - 🍎 음식의 칼로리는 어떻게 측정될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