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광합성4 btb용액, 광합성, 이산화탄소, 검정말, 은박지 실험,퀴즈 날숨을 불어넣어 BTB용액을 노란색으로 만들어 시험관 A-C에 똑같이 나누어 넣은 후햇빛이 잘 비치는 곳에 놓아두었다. 시험관 A-C 중 BTB 용액이 파란색으로 변한 것은?*C는 알루미늄박으로 시험관을 감싼 상태(빛이 통과하지 못함) 답: B검정말이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 산성(노란색) ->중성(초록색) ->염기성(파란색)으로 변함물+BTB+날숨(이산화탄소 포함)= 노란색(산성)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으면 산성이 된다.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은 것을탄산이라고 한다. 사이다는 물에 이산화탄소를 녹여 만든 음료로흔히 탄산음료라고 한다. 사이다는 산성이다.빛을 비춰준 시험관 B에서만 광합성이 일어나 이산화탄소의 양이감소하므로, 광합성에는 이산화탄소가 필요하다는 것을 이 실험을통해 알 수 있다. 2019. 12. 11. 식물의 광합성, 광합성량, 양분 형태, 체관, 물관 광합성량은 빛의 세기, 이산화탄소의 농도, 온도의 영향을 받는다 빛의 세기가 강할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하지만, 어느 수준 이상에서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기체의 성분은 광합성 결과 포도당과 함께 만들어지는 산소이다. 산소는 다른 물질의 연소를 돕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식물 자신이나 다른 동물의 호흡에 쓰인다. 기체의 성분: -검정말의 광합성 결과 생성된 산소이다 -더 강한 빛을 비추면 더 많이 발생한다 -꺼져가는 불씨를 대어보면 다시 타오른다 -육상 식물의 잎에서는 기공을 통해 출입한다 A: 물 B: 이산화탄소(기공을 통해 들어옴) C: 포도당(광합성 결과 최초로 만들어지는 양분) D: 산소(기공을 통해 나감) E: 녹말(포도당이 결합하여 형성) 가: 포도당 나: 녹말 다: 설탕 .. 2019. 3. 28. 광합성, 호흡, BTB용액, 수산화나트륨, 이산화탄소 BTB 용액 -산염기지시약 산성, 중성, 염기성에서 모두 다른 색깔을 나타내는 지시약 중성 상태의 용액에 BTB 용액을 넣으면 초록색을 띤다 여기에 입김을 불어넣으면 노란색을 띤다. 그 이유는 날숨에는 이산화탄소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이산화탄소가 용액 속에 녹아 산성물질인 탄산을 만들기 때문에 중성이던 용액이 산성용액이 된다 B 시험관은 푸른색으로 변하고, C 시험관은 노란색으로 변한다 A 시험관은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아 변화가 없고, B 시험관에서는 햇빛을 받은 검정말이 광합성반응을 진행하느라 이산화탄소를 흡수했기 때문에 푸른색을 띠며 C 시험관에서는 검정말이 햇빛을 받지 못해 광합성을 하지 못하고 호흡만 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의 발생으로 용액이 산성화되어 노란색을 띤다 빛을 비춘 시험관 B에서만 .. 2019. 3. 27. 광합성, 모세관현상, 증산작용 식물에 따라 뿌리 형태가 다르다뿌리의 끝 부분에 작고 가는 솜털 모양의 뿌리털이 있다뿌리의 기능: 지지, 저장, 흡수잎에서 만든 양분을 뿌리에 저장 줄기: 물관을 통해 뿌리에서 흡수한 물을 식물 전체로 이동하게 한다물관은 여러 개이며 줄기 전체가 물관은 아니다줄기에서 이동한 물은 꽃, 잎 등 식물 전체로 이동한다빨대 여러 개로 한꺼번에 물을 빨아올리는 것과 같이 물관 속의 물도 서로 섞이지 않는다 모세관현상: 액체 속에 폭이 좁고 긴 관을 넣었을 때, 관 내부의 액체 표면이 외부의 표면보다 높거나 낮아지는 현상. 액체의 응집력과 관과 액체 사이의 부착력에 의한 현상이다. 액체의 응집력과 관과 액체 사이의 부착력의 차이에 의해 일어난다. 수은과 물에 유리관을 넣었을 때, 수은은 관과의 부착력보다 응집력이 .. 2019. 2. 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