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차2 시차, 표준시, 날짜 변경선, 지리 정보 기술의 종류, GPS, GIS 시차 지구의 자전 때문 - 경도 15도에 1시간 시차 24시간 동안 360도 회전 15도 마다 1시간의 시간 차이가 발생 표준시 표준 경선을 기준으로 정함 우리나라는 동경 135도를 표준 경선으로 사용 날짜 변경선 동경 180도 선과 서경 180도 선이 만나는 곳 중국은 하나의 시간대를 사용 우리나라와 일본은 같은 시간대를 사용한다 한 국가가 여러 개의 시간대를 사용하기도 한다 세계 표준시의 기준은 영국 런던을 지나는 본초 자오선이다 지리 정보 기술의 종류 원격 탐사: 인공 위성, 항공기 등을 이용해 지리 정보 수집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GPS 인공위성을 활용해서 경위도 좌표로 대상의 위치를 알려 주는 시스템 지리 정보 체계 GIS 지리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 저장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 종합하여 .. 2023. 3. 17. 중국 표준시, 시차 없는 이유 중국 동서 거리: 약 5200km - 표준시 1개미국 동서 거리: 약 4500km - 표준시 4개 중국 표준시: 협정세계시UTC+8 (UTC: coordinated universal time)중국 서쪽 끝 공무원의 출근시간은 오전 10시-11시베이징으로부터 수천 km 넘게 떨어진 곳에서는 정상적인 시차를 적용할 수 없기 때문베이징 출근시간을 그대로 적용하면 새벽에 출근해야 하는 상황 1912-1942년까지 시차 존재 시차를 두지 않는 이유1) 서쪽에는 인구가 적음2) 시차를 인정하면 분열의 빌미를 줄 수 있다는 정리적 논리 2020. 12. 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