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외권3

지구계(지권, 수권, 기권, 생물권, 외권) 지구계의 구성 요소 지권: 지구 표면과 지구 내부(토양, 암석...) 수권: 지구에 있는 물(수권의 대부분은 바다가 차지. 바다는 지구 표면의 약 70% 차지) 육지의 물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건 빙하 기권: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대기(지구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기체)(지표면에서부터 약1000km 높이까지의 대기층) 다양한 기상 현상 발생(예. 구름에서 비가 내린다...) 생물권: 지구에 살고 있는 모든 생물(사람, 동물, 식물...) 외권: 기권의 바깥 영역인 우주 공간(모든 우주 공간이 아닌 지구 환경과 생물에 영향을 주는 우주 - 그래서 외권이 지구계에 포함. 예. 태양, 달...) 2022. 1. 5.
[퀴즈] 기권 기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우주에서 오는 해로운 빛을 흡수하여 생명체를 보호한다 2.온실 효과를 일으키고, 자외선을 차단하여 생명체가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3. 지표면에서 약 1000km 높이까지 분포하며 질소와 산소가 대부분이다 4. 눈, 비, 바람 등 각종 기상 현상을 일으키고, 바람은 해류를 순환시킨다 5. 지권, 수권보다 큰 부피를 차지한다 지권: 지구의 표면과 지구 내부로 대부분 고체 상태. 지구 환경에서 가장 큰 부피 차지. 지권은 단단한 고체 부분인 지각뿐만 아니라 지구의 내부도 포함하는데 이 중 외핵은 액체 상태. 지구계의 구성 요소 중 변화가 가장 느리지만, 다른 권에 큰 영향을 준다 수권: 지구상의 물로 약 97.5%가 짠맛을 내는 해수담수의 대부분은 고체 상태의 빙.. 2019. 11. 19.
지구계, 지권, 수권, 기권, 생물권, 외권, 지각, 맨틀, 내핵, 외핵, 암석, 광물, 조암광물, 모호면 지구계의 구성 요소지권=지구표면+지구내부(땅. 대부분 고체, 변화가 느리다)수권=지구의 물(바다, 빙하, 강물, 호수...) (대부분 액체 상태. 생물이 살아가는 데 꼭 필요)(수권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해수)기권=지구를 둘러싼 공기층(눈, 비, 바람 등 기상 현상이 일어남)(지상 1000km 공기까지)생물권=지구에 사는 생물체(다른 권역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개체수가 변한다)외권=기권의 바깥. 태양계, 별, 은하 커다란 전체 안에서 작은 규모의 영역이 상호 작용을 하면서전체를 유지하는 조직이나 체계를 (계)라 한다.지구를 이루는 구성 요소도 하나씩 독립된 것이 아니라서로 연관되어 상호 작용을 하는 데, 이를 (지구계)라 한다. 지구계에서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는 것: 지권 지각(땅 .. 2019. 9.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