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210 태양계, 항성, 행성, 위성, 소행성, 혜성, 별자리, 북극성 태양계: 태양의 영향이 미치는 공간과 그 공간에 있는 구성원(태양, 행성, 위성, 소행성, 혜성=>천체) 항성(fixed star, 붙박이별): 태양처럼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 별이라고도 함. 밤하늘에 반짝이는 천체는 대부분 항성임 행성: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함. 지구처럼 태양 주위를 도는 천체. 위성: 행성 주위를 도는 천체(달은 지구의 위성). 소행성(asteroid): 행성보다 작지만 태양 주위를 돌고 있음. 혜성(comet): 수소, 탄소, 질소, 산소 등 화합물로 이루어진 얼음과 먼지가 뭉쳐진 가스덩어리로 태양 주위를 타원 또는 포물선 궤도로 공전하는 작은 천체 유성(shooting star, 별똥별): 혜성, 소행성에서 떨어져 나온 티끌 또는 태양계를 떠돌던 먼지 등이 지구 중력에 이끌려 대.. 2019. 2. 10. 광합성, 모세관현상, 증산작용 식물에 따라 뿌리 형태가 다르다뿌리의 끝 부분에 작고 가는 솜털 모양의 뿌리털이 있다뿌리의 기능: 지지, 저장, 흡수잎에서 만든 양분을 뿌리에 저장 줄기: 물관을 통해 뿌리에서 흡수한 물을 식물 전체로 이동하게 한다물관은 여러 개이며 줄기 전체가 물관은 아니다줄기에서 이동한 물은 꽃, 잎 등 식물 전체로 이동한다빨대 여러 개로 한꺼번에 물을 빨아올리는 것과 같이 물관 속의 물도 서로 섞이지 않는다 모세관현상: 액체 속에 폭이 좁고 긴 관을 넣었을 때, 관 내부의 액체 표면이 외부의 표면보다 높거나 낮아지는 현상. 액체의 응집력과 관과 액체 사이의 부착력에 의한 현상이다. 액체의 응집력과 관과 액체 사이의 부착력의 차이에 의해 일어난다. 수은과 물에 유리관을 넣었을 때, 수은은 관과의 부착력보다 응집력이 .. 2019. 2. 5. 티스토리 단축키 제거 티스토리 블로그 단축키 제거 스킨편집 - HTML 편집 - 을 찾은 후 바로 위에 다음 코드를 붙여넣기 한다: 2019. 1. 25. 습도,이슬,안개,구름,눈,우박,바람,기압 습도- 공기 중에 수증기가 포함된 정도이슬-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체의 표면에 응결하여 생기는 물방울안개- 공기 중의 수증기가 지표면 근처에서 응결하여 생기는 물방울구름- 태양에 의해 지표면이 가열되면 가열된 공기가 하늘 높이 올라가 이슬점 이하에서 응결하여 미세한 물방울이나 얼음 입자로 대기의 고층에 떠 있는 것비/눈- 하늘에 떠 있는 구름 속의 작음 물방울+얼음 알갱이가 서로 뭉쳐져 점점 커져서 무거워지면 지표면으로 내려온다. 내려오다 따뜻한 공기를 만나면 녹아서 비로 내리고, 차가운 공기를 만나면 눈으로 내린다. 우박- 물방울+빙정이 떨어지다 상승기류를 만나 다시 상승하여 다시 구름를 통과하면서 물방울과 빙정이 달라붙어 커진다. 이렇게 상승기류를 여러 번 만나 사이즈가 커지면 상승 기류를 통과할 정.. 2019. 1. 25. 용해, 용질, 용매, 용액 용해: 어떤 물질이 다른 물질에 녹아 골고루 섞이는 현상용질: 다른 물질에 녹는 물질용매: 다른 물질을 녹이는 물질소금(용질) + 물(용매) ->(용해)-> 소금물(용액)용액: 용질이 용매에 골고루 섞여 있는 것오래 있어도 가라앉거나 떠 있는 것이 없다거름 종이에 걸러도 거름 종이에 남는 것이 없다 물질의 용해: 모든 물질은 입자로 되어 있다. 용해 될 때 물질이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더 작은 입자로 나누어져 용매에 골골 섞여 용액이 된다설탕물(설탕 입자 + 물 입자 결합). 설탕이 물에 용해되기 전과 후의 무게는 같다. -> 물질이 용해될 때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더 작은 입자로 나누어져 섞여 들어가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무게가 변하지 않는다. 2019. 1. 23. 휠하프 wheelharp 61줄, 5옥타브오른쪽 페달: 모터 스피드왼쪽 페달: 음색 조절(damper system)2001년 hurdy-gurdy에 영감을 받아 jon jones가 제작. 2019. 1. 21. 이전 1 ···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