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어29

-님 띄어쓰기 남 = 씨사람의 성이나 이름 뒤에홍길동 님민서 님 직위나 신분 뒤에 '높임'을 뜻을 더할 때시장님총장님 사람이 아닌 대상을 인격화하여 높일 때별님해님달님 옛 성인이나 신격화된 인물을 높이고 존중의 뜻을 표할 때공자님맹자님부처님예수님 2024. 5. 22.
'십 기', '십기' 띄어쓰기 '십기/십 기 졸업생' 어느 것이 맞을까?십 기 졸업생, 십기 졸업생 둘 다 쓸 수 있습니다.한글맞춤법 제43항에 따라,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앞말과 띄어쓰나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 앞말과 붙여 쓸 수 있습니다'십 기'의 기는 명사이지만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하나하나 반복되는 과정을 세는 단위로 '제1기 졸업생'과 같이 쓰이므로'십 기'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십기'로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2024. 5. 21.
몇 띄어쓰기 '몇'은 씌어 쓰는 것이 원칙 예시)몇 가지몇 갑절몇 걸음몇 년 단, '몇'이 수를 나타내는 말 앞에 올 때는 뒷말과 붙여 쓴다예시)몇십몇백몇천 2024. 5. 21.
'십 대', '십대' 띄어쓰기 십 대, 십대 둘 다 가능한글맞춤법 제43항에 따라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쓰지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도 있는데,여기서 '대'는 십, 이십, 삼십 띠위의 수 뒤에 쓰여사람의 나이를 십 년 단위로 끊어 나타내는 의존 명사로수량보다는 순서를 나타내므로 앞말과 띄어 '십 대'로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십대'로 붙여 쓰는 것도 허용 2024. 5.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