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 주로 민선 의원으로 구성되고 국민의 의사를 대표하고 입법을 담당하는 합의기관
민선: 일반 국민이 뽑음
*다각형(polygon): 3개 이상의 선분으로 둘러싸인 평면도형. n개의 선분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은
n개의 변, n개의 꼭짓점, n(n-3)/2의 대각선을 가진다
선분의 개수에 따라 삼각형, 사각형, n각형이라고 한다
다각형의 이웃하지 않는 두 꼭짓점을 잇는 선분을 대각선이라고 한다
n각형에서 내각의 크기의 합: (n-2)*180
부엌이나 목욕탕의 타일을 보면 대부분 다각형이나 정다각형 모양을 하고 있다
한 점에 모인 도형의 각의 합이 360도가 되는 경우에는
도형 사이를 빈틈없이 메울 수 있다
*정다각형: 변의 길이가 모두 같고, 각의 크기가 모두 같은 다각형
예)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오각형, 정육각형...
*종군: 군대를 따라 전쟁터로 나감
*선분: 두 점을 곧게 이은 선
*드라이브를 걸다: (드라이브drive: 어떤 방향으로 몰아가다, 추진하다, 박차를 가하다)
어떤 일에 집중하다, 강력히 추진하다
*유보=보류: 어떤 일을 당장 처리하지 않고 나중으로 미룸
*펀드: 어떤 특정 목적을 위해 돈이 모인 것
은행에서 말하는 펀드는 여러 사람이 돈을 모아 기업/증권에 투자하고 수익금(배당금)을 투자자에게 나누어 주는 것
불우 이웃을 돕기 위해 돈을 모으는 것도 펀드라 함
*재태크: 보유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최대 이익을 창출하는 고도의 지식과 기술
*군소정당(smaller parties): 소규모 정당으로 의회에 의석수가 없는 원외 정당이나 의석 수가 적은 정당을 말한다.
*미래내: 은하수(은하를 강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용의 옛말인 미르가 변한 미리와
천(川)의 내를 합쳐 미리내라 부른다. 맑은 시골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하늘을 가로지르는 뿌연 빛의 띠를 볼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은하수, 우리은하의 모습이다.
우리는 은하수를 통해 우리은하의 단편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milky way(우리은하: 태양계가 속해 있는 은하): 지름이 10만 광년에 이르고 태양계는 우리은하의 중심으로부터
약 3만 광년정도 떨어진 변두리에 위치하고 있다. 더 먼 은하는 너무 멀어서 볼 수 없다.
왜냐하면 은하와 은하 사이의 거리가 수십억 광년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광년(light year): 빛이 진공 속에서 1년 동안 진행한 거리
빛이 진공 속에서 1초 동안에 약 30만km를 이동한다
*은하(galaxy): 별들의 집단(별, 가스, 먼지로 구성)
*연소: 물질이 공기 중의 산소와 빠르게 반응하여 열과 빛을 내며 타는 현상
연소 후 물과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발화점:불을 붙이지 않아도 물질이 연소하기 시작하는 온도
발화점은 물질마다 다르다.
*대체에너지: 석유나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를 대신해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
*바이오매스: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는 식물, 미생물 등의 생명체
생물체에서 얻어지는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메탄가스나 에탄올 등을 바이오매스 에너지라 부른다
브라질은 사탕수수 등에서 알코올을 추출하여 자동차 연료로 사용하는 연구에 성공했다.
*북반구(nothern hemisphere): 적도를 경계로 지구를 둘로 나누었을 때의 북쪽 부분. 남반구의 반대.
자구는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북반구와 남반구의 남중고도가 반대가 되고, 계절이 서로 반대가 되는 것이다.
북만구에 위치한 우리나라가 여름일 때, 남반구에 위치한 호주는 겨울.
북반구에 사는 사람들은 집을 지을 때 남쪽을 향하게 짓는다.
집이 남쪽을 향하고 있으면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 따뜻하기 때문이다.
*남중고도(meridian altitude): 태양이 남쪽 하늘 가운데 있어 고도가 가장 높을 때
하루 중 태양의 고도가 가장 높을 때, 즉, 태양이 가장 높이 떠 있을 때는 12시 30분 경.
이때의 태양의 고도를 남중고도라 함. 계절에 따라 다름.
*자전축(rotation axis): 지구가 자전할 때 기준이 되는 축. 북극과 남극 연결한 직선.
지구의 자전축은 약 23.5도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다. 우리나라에서
사계절이 생긴 이유는 이렇게 지구가 기울어진 채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기 때문.
하지: 태양의 남중고도가 가장 높고, 낮이 가장 긴 날. 6월 21일경
동지: 태양의 남중고도가 가장 낮고, 밤이 가장 긴 날. 12월 22일경
*퓨즈(fuse): 전류가 세게 흐르면 전기 부품보다 먼저 녹아 끊어져서 전류의 흐름을 끊어주는 금속선
과도한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열로 끊어져야 하기 때문에 납이나 주석과 같이 열에 쉽게 녹는
금속으로 만든다. 퓨즈가 끊어지면서 전기 부품이 손상되는 걸 막는다
*바이메탈(bimetal): 열팽창률이 다른 두 물질을 붙여 놓은 것(온도 조절 장치에 사용)
열팽창률이 다른 두 개의 금속을 합쳐 놓으면 열을 받아 늘어날 때
덜 늘어나는 금속 쪽으로 휘어지게 된다.
*반도체(semiconductor): 전기전도도에 따라 물질을 분류하면 크게
도체, 반도체, 부도체로 나뉜다. 반도체는 순수한 상태에서 부도체와
비슷한 특성을 보이지만, 불순물의 첨가에 의해 전기전도도가 늘어나기도 하고
빛이나 열에너지에 의해 일시적으로 전기전도성을 갖기도 한다.
*예각: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
둔각: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각
*광합성: 식물이 빛을 이용하여 양분을 스스로 만드는 과정
녹색 식물이나 그 밖의 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는 작용
*엽록소(chlorophyll): 식물의 녹색 색소로서 이것에 의해서 광합성이 이루어진다
*이등변삼각형: 두 변의 길이가 같고, 두 밑각의 크기가 같다
이등변삼각형의 꼭지각의 이등분선은 밑변을 수직이등분한다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로 테르펜으로 알려진 피토케미컬의 한 분류에 속한다. 갑각류를 비롯해 수생동물에 널리 분포한다
새우, 게 등의 갑각류를 비롯하여 수생동물에 널리 분포한다. 빨간색을 띠며 지용성 색소이다. 생체 내에서는 단백질과 결합한
색소단백질로 존재하는 것이 많다. 게를 삶으면 빨갛게 되는 것은 색소단백질이 분해되어 붉은 아스타잔틴의 색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방형: square. 사각
*사보임: 사임+보임(위원 교체)
*보임: 어떤 자리에 임명함
*천렵: 더위를 피하거나 여가를 즐기기 위해 뜻이 맞는 사람끼리 냇가에서 고기를 잡으며 하루를 즐기는 놀이
전류(전기의 흐름: electric current): 눈에 보이지 않는 전기를 띤 입자가 전선을 따라 이동하는 현상
검류계 galvanometer: 매우 약한 전류가 흐르는지 그렇지 않는지를 측정하고, 전류의 크기도 측정 =전류계
도선(electric wire, chord): 전류를 통하게 하는 줄. = 전선 (전기가 잘 통하는 물질로 만듦)
도체(conductor): 전기가 통하는 물질. 철, 구리, 알루미늄, 금, 은 등과 같은 금속)
금속 물질로 된 도체뿐만 아니라 묽은 염산, 묽은 황산, 소금물 등 액체 상태인 도체도 있음
부도체(nonconductor):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플라스틱, 고무, 종이, 유리, 비닐, 나무)
누전차단기(earth leakage breaker): 전기가 너무 세면 자동으로 전기를 차단하는 장치
퓨즈(fuse): 전류가 세게 흐르면 전기 부품보다 먼저 녹아 끊어져서 전류의 흐름을 끊어주는 금속선
납이나 주석과 같이 열에 쉽게 녹는 금속으로 만듦
전기회로(electric circuit):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지, 전선, 전구 등 여러 가지 부품을 연결한 것
전동기(motor): 전기로 움직이는 회전 기계
전동차: 전동기의 힘으로 레일 위를 달리는 차
플러그(plug): 전기 회로를 잇거나 끊을 수 있도록 전깃줄 끝에 달린 장치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300 고르고 여왕의 의회 연설 (0) | 2018.12.12 |
---|---|
최초의 화성 바람 소리 (0) | 2018.12.08 |
향유고래 (0) | 2018.1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