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트

영국의 시민혁명, 청교도혁명, 명예혁명,전제정치,민주정,공화정,입헌군주제,권리장전,권리청원,항해법

by klob 2019. 4. 6.
반응형

시민혁명 -> 시민사회(민주정, 공화정(공동 정치), 입헌군주제(법을 기반으로 정치))  

시민혁명 순서

영국 - 미국 - 프랑스


영국혁명(2번 발생)

1) 청교도혁명 2)명예혁명 = 둘 다 전체정치 때문에 일어남

젠트리 계층(시민 계급 중 돈을 많이 가지고 있던 계층)과 시민계급이 성장 

이들이 믿고 있던 종교가 청교도. 당시 영국 국교회가 썩음 - 이를 비판하면서 생긴 종교(청교도)
엘리자베스 1세 자식 없음 - 친척 제임스 1세가 왕이 됨. 

영국 국교회를 믿음. 이를 믿지 않는 청교도인을 박해 + 세금 이빠이

(지맘대로 정치, 신처럼 정치 - 전제정치)

제임스 1세의 아들 찰스 1세 등극. 부전자전. 아버지와 똑같이 청교도 박해 + 세금 이빠이

(지맘대로 정치, 신처럼 정치 - 전제정치)

시민들이 의회(시민들의 대표가 모인 집단, 회의를 함)를 만듦 - 시민들을 자꾸 삥뜯으니까 빡친 의회가 찰스 1세에게 '우리에게도 권리가 있다'라며 편지를 씀(권리청원) - 찰스 1세 겉으론 권리청원 인정, 뒤로는 의회 해산 - 의회를 중심으로 모인 의회파 VS 왕을 중심으로 한 왕당파 - 쪽수 많은 의회파 승 (의회파를 이끈 사람(크롬웰): 항해법: 바다가 없는 나라는 다른 나라의 배를 빌려 무역함. 그러면 돈을 많이 벌 가능성이 많은 나라: 4면이 바다인 영국. 영국은 중개무역으로 돈을 왕창 벌고 있었음. 이때 나타난 네덜란드 "우린 영국보다 싼 가격에 해주겠다". 네덜란드가 중간에서 무역 거래 채감 - 빡친 크롬웰, 항해법 만듦 "영국은 네덜란드 배를 이용하는 나라와는 상대하지 않겠다" - 네덜란드의 해상무역을 봉쇄하기 위해 제정된 법령) - 찰스 1세 참수 - 공동 정치 시작(공화정) = 청교도 혁명

권력에 취한 크롬웰, 독재정치 시작 - 사람들을 괴롭히기 시작 - 크롬웰 갑자기 죽음 - 공화정을 하고 있는데 공화정 대표가 죽음 - 멘붕옴 "국가를 어떻게 할지 모르겠다" - 공화정을 처음 함, 시스템이 불완전 - 피터지게 싸웠는데 다시 왕을 불러오는 황당한 상황(왕정복고) - 찰스 1세가 참수되고 아들 찰스 2세는 프랑스로 도망갔었음 -"프랑스로 도망갔던 찰스 2세를 불러와라" - 부전자전. 찰스 2세가 정치를 제대로 할리 만무. 시민들이 아버지를 참수하는 걸 목격, 시민들에게 잘 할리 만무 - 다시 전제정치 - 찰스 2세 동생 제임스 2세 등극. 그 형에 그 아우, 전제정치 펼침 - 고민하다가 떠올린 한 사람 -똑똑한 메리(제임스2세 딸/메리 남편(윌리엄3세); "아빠, 시민들을 괴롭히지 마세요!" 열 받은 아빠를 피해 네덜란드로 피신해 있었음) - "왕이 되어주세요!", 메리+윌리엄 공동 왕 추대 - 제임스2세 프랑스로 도망 - 시민들이 법전(권리장전)을 들고 감 "이대로 정치를 해주세요!" - 메리+윌리엄(군주) + 권리장전(법전)에 의해 정치(입헌) =입헌군주제 => 명예혁명(혁명엔 피를 보기 마련. 하지만, 이번엔 피를 안 봄, 그래서 명예롭다해서 명예혁명)


*항해법: 1651년 크롬웰이 제정. 당시 영국의 최대 무역 경쟁국이었던 네덜란드를 겨냥.

유럽 이외 지방의 산물을 영국 및 그 식민지로 수입하는 경우, 영국이나 그 식민지 선박으로 수송할 것을 규정하였으며, 이로 인해 영국은 네덜란드와 전쟁도 치룬다. 항해법은 영국이 무역 강국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권리장전은 명예혁명(1688) 다음 해인 1689년에 발표되었다. 권리장전은 의회의 승인 없이는 법률이 제정될 수 없다는 규정 등이 마련되어 의회가 왕권보다 우위에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를 통해 영국은 의회 중심의 입헌 군주제가 확립되었다.


a. 시민혁명을 통해 나타난 변화가 아닌 것은?

1. 절대왕정이나 봉건제도가 무너졌다

2. 의회제도가 확립되었다

3. 경제 활동에 대한 지나친 간섭이나 통제가 사라졌다

4. 사회보장제도가 확대 실시되었다

5. 자유롭고 평등한 민주 사회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b. 시민혁명을 통해 나타난 사회상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프랑스에서는 대혁명 직후 보통선거가 실시되었다

2. 영국에서는 명예혁명 이후 세계 최초의 입헌 군주국이 수립되었다

3. 미국에서는 독립혁명 이후 최초의 민주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4. 시민혁명 이전의 사회에 비해 자유롭고 평등한 근대 시민 사회가 발전하게 되었다

5. 시민 혁명 이전의 사회에 비해 경제 활동에 대한 지나친 간섭이나 통제가 사라졌다


c. 다음과 같은 사회 변동의 가장 직접적인 계기가 된 사건

-왕과 귀족세력의 몰락

-인간의 자유와 정치적 권리의 확대


1. 농업혁명 2.시민혁명 3. 종교개혁 4.산업혁명


d.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사회집단은?

-도시와 상업의 발달로 경제적 부를 얻게 되었다

-절대왕정을 재정적으로 지탱하면서 그들의 보호를 받았다

-산업 활동의 자유와 정치 참여를 요구하며, 시민혁명의 주역이 되었다


1. 농민  2.귀족  3. 부르주아  4.성직자 5. 프롤레타리아



e. 청교도 혁명의 사건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

ㄱ. 크롬웰의 공화정 수립    ㄴ. 찰스 1세의 의회 해산

ㄷ. 왕당파와 의회파의 내전  ㄹ. 의회에 권리청원 제출


1. ㄴ-ㄷ-ㄱ-ㄹ   2. ㄹ-ㄴ-ㄷ-ㄱ

3. ㄴ-ㄹ-ㄷ-ㄱ   4. ㄷ-ㄴ-ㄱ-ㄹ



a 4  b 1  c 2  d 3  e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