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트

표준편차 뜻

by klob 2024. 12. 21.
반응형

표준편차는 데이터가 얼마나 퍼져 있는지 보여주는 숫자입니다. 아주 쉬운 예로

친구들의 키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반 친구들 5명의 키가 이렇게 있습니다:

  • 140cm
  • 141cm
  • 139cm
  • 140cm
  • 141cm

이 키들은 서로 거의 비슷합니다. 따라서 표준편차는 작은 숫자가 나옵니다.


 

이번에는 키가 이렇게 다르다고 생각해 보겠습니다:

  • 120cm
  • 140cm
  • 160cm
  • 180cm
  • 200cm

이 키들은 서로 차이가 많이 납니다. 따라서 표준편차가 큰 숫자가 나옵니다.


쉽게 생각하면

표준편차는 데이터가 얼마나 비슷한지 또는 다른지를 알려주는 숫자입니다.

  • 숫자가 작으면: 비슷비슷함
  • 숫자가 크면: 서로 많이 다름

표준편차를 다른 말로 하면 "데이터의 흩어짐 정도" 또는 "퍼져 있는 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조금 더 쉬운 말로는:

  • "얼마나 고르지 않는지"
  • "값들이 얼마나 뿔뿔이 흩어져 있는지"

이렇게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친구들 키가 다 비슷하면 흩어짐이 작고, 키가 많이 다르면 흩어짐이 큰 겁니다!

2024.10.04 - [노트] - [초등백과] 폭포와 물의 순환

2024.10.07 - [노트] - 초등백과] 어음이란, 금융상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