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트

초등백과] 구름이 하얀 이유, 먹구름이 회색인 이유

by klob 2024. 10. 18.
반응형

구름이 하얀 이유는 구름을 이루는 물방울과 얼음 결정이 햇빛을 여러 방향으로 고르게 반사하기 때문이야. 햇빛은 무지개처럼 여러 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이 빛을 흩뿌리면서 모든 색이 섞여 나오게 돼. 이렇게 모든 색이 합쳐지면 사람의 눈에는 하얗게 보이거든. 그래서 구름이 하얀 거야.

 

 

햇빛은 사실 여러 가지 색으로 이루어진 빛이 합쳐진 거야! 이 빛은 우리가 흔히 백색광이라고 부르는데 실제로는 다양한 색의 빛이 섞여 있어. 이걸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게 무지개야

햇빛이 공기 중의 물방울이나 프리즘 같은 투명한 물체를 통과할 때 빛이 굴절되고 색깔들이 분리되면서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 같은 다양한 색으로 나뉘어 보이게 돼. 그래서 햇빛 자체는 무지개의 모든 색을 포함한 빛이라고 할 수 있어. 이 색들은 각기 다른 파장을 가진 빛인데, 파장이 가장 짧은 빛은 보라색, 파장이 긴 빛은 빨간색처럼 다르게 나타나는 거야. 하지만, 우리가 일상에서 햇빛을 볼 때는 이 색들이 다 섞여 있어서 흰색으로 보이는 거지.

 

 

햇빛은 여러 가지 색(빨, 주, 노, 초, 파, 남, 보)이 섞여 있어. 구름 속의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은 아주 작아서 햇빛이 그 물망울에 부딪히면 빛이 여러 방향으로 튕겨 나가. 이 과정에서 모든 색이 섞이게 돼.

보통 여러 색이 섞이면 흰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우리가 구름을 볼 때 그 빛이 하얗게 보이는 거야.

빛은 직진하는 성질이 있지만, 작은 물체에 부딪히면 빛이 반사되거나 굴절되면서 방향이 바뀌어 여러 곳으로 퍼져나가게 돼. 구름 속의 작은 물방울은 아주 작아서 햇빛이 들어올 때 한 방향으로만 반사되는 게 아니라 모든 방향으로 빛을 흩뿌리는 거야. 이 과정을 산란(散亂 흩어질 산, 어지러울 란=흩어져 어지러움)이라고 해. 

 

먹구름이 회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구름이 두껍고, 햇빛을 충분히 통과시키지 않기 때문이야.

보통 구름이 얇으면 햇빛이 구름을 잘 통과해서 우리가 하향게 보지만, 먹구름처럼 두꺼운 구름은 빛을 많이 흡수하거나 차단해. 구름의 아래쪽까지 도달하는 빛이 적어지면, 그 부분이 어둡게 보이기 때문에 구름이 회색이나 심지어 검은색처럼 보이는 거야. 또한, 구름이 두꺼워질수록 물방울이 더 크고 많아지면서 빛이 산란되는 양도 줄어들어, 빛이 덜 퍼지게 돼. 그래서 두꺼운 구름 속은 어둡고, 회색으로 보이는 거지. 

 

 

모든 먹구름이 비를 내리지는 않아! 먹구름은 두껍고 어두워서 비를 내릴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구름 속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작용해. 비가 내리려면 구름 속의 물방울이 서로 합쳐져서 충분히 커져야 해. 물방울이 너무 작으면 공기 중에 떠다니다가 증발해 버리기 때문에 땅에 도달하지 못해. 구름이 매우 두꺼워도 이런 큰 물방울이 형성되지 않으면 비가 내리지 않지. 따라서 먹구름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비가 내리는 건 아니지만, 먹구름이 형성될 때는 대개 비가 올 가능성이 높아지긴 해. 특히 '적란운' 같은 구름은 비, 번개, 심지어 우박을 동반할 수 있어.

 

적란운(積亂雲)이라는 단어를 한자로 풀어보면:


- 적(積): 쌓을 적. 무언가가 층층이 쌓이는 걸 의미해
- 란(亂): 어지러울 란. 혼란스럽고 불안정한 상태를 나타내.
- 운(雲): 구름 운.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을 뜻해

 

그래서 적란운은 하늘에 쌓인 어지럽고 불안정한 구름이라는 뜻이야. 이 구름은 일반적으로 크고 높게 솟아오르는 모양으로 매우 두꺼운 구름이야. 

 


적란운은 강한 대류 활동으로 인해 하늘로 매우 높이 솟아오르는 구름으로 주로 천둥, 번개, 폭우, 심한 경우 우박까지 동반할 수 있어. 이 구름이 생기는 원인은 대개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형성되기 때문에 여름철 폭풍우나 뇌우와 자주 연관돼 있어. 


뇌우란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비를 의미해

뇌(雷): 천둥, 번개를 의미해

우(雨): 비를 뜻해

 

따라서, 뇌우는 천둥소리와 번개가 치면서 비가 내리는 현상을 말해. 뇌우는 주로 적란운 같은 큰 구름에서 발생하는데 이 구름은 매우 강한 상승 기류를 가지기 때문에 공기가 빠르게 움직이며 충돌해 전기를 만들어내고 그 결과 천둥과 번개가 발생해. 뇌우는 주로 여름철에 많이 나타나며 강한 비, 바람, 심지어 우박을 동반하기도 하지.

 

구름이 상승 기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공기가 위로 올라가는 움직임을 의미해. 이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해볼게.

1. 열기와 습기: 햇볕에 의해 지면이 데워지면, 그 위의 공기 또한 따뜻해져. 따뜻한 공기는 차가운 공기보다 가벼워서 위로 상승해

 

2. 상승 기류 형성: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면서 주변의 차가운 공기를 밀어내게 돼. 이때 공기가 위로 올라가면서 수증기를 포함한 따뜻한 공기가 모여 구름이 형성돼

 

3. 구름의 성장: 계속해서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면, 구름이 점점 더 두꺼워지고 커지게 돼. 이 과정에서 공기가 위로 올라가면서 냉각되고 수증기가 물방울로 응결되어 구름이 형성되는 거지.

 

4. 강한 상승 기류: 적란운 같은 구름에서는 이러한 상승 기류가 매우 강해져. 강한 상승 기류는 공기를 빠르게 위로 끌어올려서 큰 구름을 만들고 천둥과 번개를 동반하는 뇌우가 발생할 수 있어.

 

따라서 구름이 상승 기류를 가진다는 것은 공기가 위로 올라가면서 구름이 형성되고 성장하는 과정을 의미해.

2024.10.14 - [노트] - 초등백과] 금리의 뜻과 종류

2024.10.14 - [노트] - 초등백과] 콜금리 뜻, 물가연동국채 뜻, 구매력 뜻

2024.10.12 - [노트] - 초등백과)월식과 일식 구별하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