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띄어쓰기22 띄어쓰기) 해 보다, 해 주다, 가 계세요, 사 가지고, 가 보다, 해 볼게, 와 가지고... ‘-아/어+보조 용언’의 경우, ‘해 보다, 해 주다, 가 계세요, 사 가지고, 가 보다, 해 볼게, 와 가지고’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고 붙여 쓰는 것이 허용. 다만 ‘해보다’의 경우 ‘대들다, 맞겨루다, 싸우다’라는 의미일 경우 붙여 씀. ‘해 갖고’의 ‘갖고’는 ‘가지고’의 줄임말이므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고 붙여 쓰는 것이 허용. 서술어: 문장 구성의 기본 골격이 되는 요소로 동작, 상태, 성질 따위를 서술하는 말 용언: 문장 안에서 서술하는 역할을 하는 동사와 형용사 어간+어미로 구성 작고, 작으니, 작아서 '작'처럼 모양이 바뀌지 않는 부분이 어간, '고, 아서' 처럼 모양이 변하는 부분이 어미 용언의 여러 가지 모양 중에서 어간에 어미 ‘-다’를 붙인 것을 기본형이라함 - '작다' .. 2021. 2. 18. 맞춤법, 띄어쓰기 수놈(o) vs 숫놈(x)1다스(o) vs 1타스(x)어쩔 뻔했어영수답다수 세기 동안내려다보이는가져다주다말한 대로그날불어넣고가득 찬고장 난다음번에는오래전에맨발/맨손흙투성이머쓱하다심술딱지와 심술머리심술을 속되게 이를 때 '심술딱지'라 함. 심술딱지의 의미로 심술머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심술딱지만 표준어로 삼는다 2019. 1. 14. 이전 1 ···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