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척, 체, 만, 법, 듯' 띄어쓰기
양, 척, 체, 만, 법, 듯+하다/싶다(붙여쓰기) 예. 체하다, 법하다, 듯싶다 아는 척하다(원칙) 아는척하다(허용) 하는 듯하다(원칙) 하는듯하다(허용) 그럴 법하다(원칙) 그럴법하다(허용) 보조 용언은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붙여 쓰는 것도 허용
2021. 6. 6.
흥선대원군 개혁정치, 통상수교거절정책, 삼정, 경복궁 중건, 병인박해, 제너럴셔먼호사건, 병인양요, 오페르트도굴사건, 신미양요, 정전, 군정, 환정, 양전, 호포제, 사창제, 서원정리
흥선대원군 개혁정치 배경: 국내(세도정치: 극소수의 권세가에 의해 나라가 운영되던 정치 형태. 나라 개판, 과거제 흔들, 매관매직) 정치기강의 문란. 삼정의 문란 - 백성의 삶 피폐. 이때 백성의 마음을 어루만져준 것->동학, 천주교 - 급속도로 교세 확장 왕권약화(혼란)-국외: 이양선(서양 배 출몰) -중국, 일본 개항, 러시아가 연해주(두만강 위쪽) 먹음-다음은 우리나라 차례-두려움에 떰-서구 열강들이 언제 쳐들어올지 모르는 혼란한 상황-이런 상황에서 흥선대원군은 개혁정치를 펼 수밖에 없음 - 개혁정치를 펼친 목적: 왕권 강화, 국가 재정 확립, 민생 안정 정치(왕권강화) - 외척(안동 김씨) 척결, 인재,능력 보고 등용. 비변사 기능 축소(비변사: 국방을 맡아보던 관청. 비변사의 힘이 커지고 의정부..
2019. 4.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