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노트222

초등백과] 콜금리 뜻, 물가연동국채 뜻, 구매력 뜻 콜금리란:콜금리는 은행들이 서로 돈을 빌리고 빌려줄 때 적용하는 이자율이야보통 하루나 단기간 돈을 빌리고 갚는 아주 짧은 기간의 거래에 사용되지 친구들끼리 장난감을 빌려주는 걸 상상해 봐A 친구가 B 친구에게 장난감을 하루 동안 빌려주면서 "내일 돌려줄 때 사탕 하나 더 줘"라고 한다면, 이 사탕이 바로'이자'와 비슷한 거야.은행들도 이렇게 서로 돈을 빌려주고 그 대가로 받는 이자율이 콜금리지. -은행들은 매일 돈이 부족하거나 남는 상황이 생겨, 돈이 부족한 은행은 남는 은행에서 빌리고, 이때 콜금리를 기준으로 이자를 주고받아. 이렇게 해서 은행들은 항상 적당한 양의 돈을 가지고 있을 수 있어. 콜금리는 한국은행이 정하는 기준금리의 영향을 많이 받아기준금리가 올라가면 콜금리도 보통 따라 올라가고 내려가면.. 2024. 10. 14.
초등백과)월식과 일식 구별하기 월식은 달이 지구의 그림자 속에 들어가는 현상이야. 달이 숨바꼭질하듯 지구 뒤로 숨어서 잘 안 보이게 되는 거지.마치 달이 지구 그림자 안에 쏙 들어가서 어두워지는 거야. 그래서 월식은 달이 숨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돼.  일식은 달이 태양을 가리는 현상이야. 달이 앞으로 나와서 태양을 가려버리는 거지. 그래서 낮인데도 잠시 어두워질 수 있어. 일식은 태양이 가려지는 거라고 생각하면 돼.   -월식 (月蝕):달 '월'자에 가릴 '식'자. 그러니까 월식은 달이 가려지는 현상이고,-일식 (日蝕):태양 '일', 가릴 '식'자. 그러니까 일식은 태양이 가려지는 현상이야. 영어로일식은 solar elipse(태양이 가려짐)월식은 lunar elipse(달이 가려짐) *개기일식과 개기월식:개기일식은 달이 태양을 완전.. 2024. 10. 12.
초등백과] 어음이란, 금융상식 어음이란 돈을 주고받는 걸 약속하는 종이 쪼가리라고 생각하면 돼. 예를 들어, 친구에게 "내가 다음 주에 1000원을 줄게"라고 약속하는 것과 비슷하지. 이 약속을 종이에 적어서 친구에게 주는 거야. 만약 약속한 날짜에 돈을 주지 못하면, 그걸 부도라고 해. 말이 어렵지? 不 (부)는 "하지 않다", 渡 (도)는 "전달하다"라는 말로 약속한 돈을 제때 못 내는 상황을 말해. 예를 들어, 친구에게 빌린 돈을 약속한 날짜에 갚지 못하면 부도라고 할 수 있어. 이럴 때는 친구가 실망하고 앞으로 그 친구와 돈거래를 하지 않으려고 할 수도 있지. 그래서 부도는 꼭 피해야 하는 상황이야. 약속어음은 내가 언제, 어디서, 얼마를 줄 거라고 약속하는 거고, 환어음은 다른 사람에게 돈을 주라고 부탁하는 거야. 회사들 사.. 2024. 10. 7.
초등백과) 웹툰에 자주 나오는 공작, 후작, 백작, 자작, 남작의 서열 순위 공작, 후작, 백작, 자작, 남작은 중세 봉건제 사회에서 높은 사람들의 계급을 나타내는 말이야.이걸 웹툰에서 자주 보기도 하는데, 이 사람들이 어떻게 서열이 나뉘고 무슨 일을 하는지 쉽게 설명해 줄게! 1. 공작(duke): 제일 높은 귀족이야. 왕 다음으로 강력한 사람으로 아주 큰 땅을 다스려. 나라 안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해서 다른 귀족들보다 영향력이 크고, 가끔은 왕을 도와 나라를 통치하기도 해.2. 후작(marquess): 공작 바로 아래 있는 계급이야. 후작은 나라의 가장자리에 있는 땅을 다스리는 경우가 많아. 국경 지역을 보호해야 해서 중요해. 그래서 다른 귀족들보다 더 많은 병사를 이끌고 있기도 해.3. 백작(earl/count): 백작은 후작보다 약간 낮은 귀족이야. 백작은 중간 크기의 땅.. 2024. 10. 5.
반응형